2025년 10월 1일부터 폐렴구균 20가 백신(PCV20) 이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사업에 도입됩니다. 많은 부모님들이 광주 폐구균 20가 백신 접종 병원이 어디인지 궁금해 하시는데요. 오늘은 소아과 조회 방법과 폐구균 20가 백신의 특징, 교차접종 유의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폐구균 20가 백신이란?
폐구균 백신은 아이들의 폐렴과 중이염, 뇌수막염 같은 심각한 감염병을 예방하는 백신입니다. 폐구균 백신은 ‘가’ 숫자로 혈청형 종류를 구분하는데, 20가 백신 도입 전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어 온 것은 폐구균 13가(PCV13)와 폐구균 15가(PCV15) 백신입니다. 폐렴구균 백신으로 알고 계시기도 합니다.
폐구균 20가 백신은 기존에 사용되던 13가 또는 15가 백신보다 더 많은 20가지 혈청형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입니다.이는 더 넓은 범위의 폐렴구균 감염을 예방할 수 있어, 특히 최근 국내외에서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일부 혈청형에 대한 보호 효과가 뛰어납니다.
2025년 10월 1일부터 폐구균 20가 백신이 어린이 국가예방접종사업에 공식 포함됨에 따라, 기존에 13가 또는 15가 백신을 접종받던 어린이들도 단계적으로 20가 백신(PCV20) 으로 전환 접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반드시 알아야할 교차접종 유의사항
2025년 10월 1일 이후 폐구균 20가 백신이 어린이 국가예방접종사업에 도입되면서 기존 13가, 15가 백신을 맞은 아이들도 20가 백신으로 접종이 가능합니다. 다만 꼭 알아두셔야 할 유의사항이 있습니다.
백신은 항원이 표준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회사마다 다를 수 있어 의학적 원칙으로 교차접종은 같은 회사의 백신을 활용하여 접종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현재 PCV20은 PCV13과 같은 회사(화이자)의 것이기 때문에 13가 백신을 맞은 경우 교차접종 하는 것이 권고되며, 15가 백신을 맞은 아이는 15가 백신으로 접종을 완료해야하는 것이 원칙이며, 20가 백신으로 교차접종 하는 것에 있어서는 반드시 소아과 의사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때문에 2025년 10월 1일 이전에 이미 폐구균 예방접종을 한 아이는 꼭 이전에 접종한 백신의 종류를 확인하시고 추후 접종계획을 수립하셔야 합니다
광주 폐구균 20가 백신 접종 병원 조회 방법
1. 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 및 앱 이용하기
질병관리청에서 운영하는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과 모바일 앱에서는 지역별로 20가 백신 접종 가능 병원 검색이 가능합니다.

(1) 사이트 또는 앱에 접속해 상단에 [예방접종 관리]탭 클릭
(2) [위탁의료기관 찾기] 메뉴로 들어옵니다.

(3) [위탁의료기관 찾기] 메뉴에서는 국가예방접종사업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데요. 이중 [어린이 국가예방접종사업]을 선택합니다.
(4) 검색하려고 하는 지역을 시/도>시/군/구>읍/면/동 순으로 입력합니다.

(5) 그리고 접종가능 백신에서 폐렴구균(pcv 20가)를 선택하여 검색버튼을 누르면 조회가 완료됩니다.
아래는 폐렴구균 13가 백신 접종가능 목록을 조회한 광주광역시 병원 리스트중 일부입니다. (폐렴구균 20가 백신은 10월 1일 이후 도입되기 때문에 그 이후 조회하시면 됩니다.) 참 편리하죠?
병/의원명 | 전화번호 | 주소 |
---|---|---|
BMF의원 | 070-8671-7546 | 광주광역시 남구 군분로 34, (월산동) 2,3층 |
KS병원 | 062-975-9284 | 광주광역시 광산구 왕버들로 220, (수완동) |
가족건강의원 | 062-971-3223 | 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중앙로181번길 42-5, (월계동, 첨단 금호타운) 상가동 1층 |
건강미현대웰빙의원 | 062-945-1999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로 7, (송정동) |
건강탑의원 | 062-515-2575 | 광주광역시 북구 북문대로 242, (동림동) 2층 201호 |
광산수완미래아동병원 | 062-605-2561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임방울대로 162, (운남동, 광산미래아동병원) |
광주기독병원 | 062-650-5118 |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로 37, (양림동) |
광주동림병원 | 062-510-6008 | 광주광역시 서구 하남대로 686, (동천동, 동림병원) |
광주보훈병원 | 062-602-6114 | 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월봉로 99, (산월동) |
광주센트럴병원 | 062-950-9735 | 광주광역시 광산구 수완로 6-0, (신가동) A,B동 |
광주씨티병원 | 062-460-7000 | 광주광역시 남구 서문대로654번길 5, (진월동) |
광주아주병원 | 062-716-7000 | 광주광역시 북구 동문대로 208-0, (각화동,청연병원) 1동 |
광주일곡병원 | 062-608-7000 | 광주광역시 북구 양일로 309, (일곡동) |
광주중앙아동병원 | 062-960-7000 | 광주광역시 광산구 목련로 379, (신가동) |
광주한국병원 | 062-380-3156 | 광주광역시 서구 월드컵4강로 223, (쌍촌동) |
2. 전화 문의 및 병원 직접 방문 상담
- 원하는 소아과나 동네 병원에 직접 전화로 폐구균 20가 백신 접종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 특히, 백신 수급 상황이나 예약 상황은 병원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미리 전화 문의를 통해 예약 일정을 조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광주 폐구균 20가 백신 접종 병원 예약, 접종 팁
- 사전 예약 필수 : 폐구균 20가 백신은 무료접종 대상이지만, 백신 수급 상황에 따라 병원별 물량 차이가 있을 수 있어 미리 예약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접종 대상 및 일정 확인 : 질병관리청에서 지정한 접종 대상자 및 접종 시기 기준에 맞게 접종 일정을 계획해야 합니다.
- 기존 접종 이력 확인 : 이미 13가 또는 15가 백신을 맞은 경우, 교차접종이나 전환 접종 관련 소아과 전문의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 접종 후 이상 반응 모니터링 : 백신 접종 후 발열, 발진 등 이상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접종 후 48시간 내 아이 상태를 세심하게 관찰해야 합니다.
2025년 폐구균 20가 백신 도입으로 기대할 수 있는 변화
- 더 넓은 범위의 폐렴구균 감염 예방으로 아이들의 건강 보호 강화
- 감염병 발생률 감소 및 입원율 감소 기대
- 단계적인 13가, 15가 백신에서 20가 백신으로의 접종 전환으로 예방 효과 극대화
마치며
2025년 10월 1일부터 폐구균 20가 백신이 국가예방접종 사업에 새로 포함되면서, 더 많은 어린이가 보다 폭넓은 폐렴구균 감염 예방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내 아이가 가까운 병원에서 무료로 폐구균 20가 백신을 접종받을 수 있도록, 이번 글에서 알려드린 ‘폐구균 20가 백신 접종 병원 조회 방법’을 꼭 참고해 주세요.
아울러, 내 아이가 현재 접종한 폐구균 백신이 13가인지 15가인지 조회하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에서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 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