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 폐구균 접종 백신 조회하는 법 (13가, 15가 쉽게 확인하기)

2025년 10월 1일부로 폐구균 20가 백신이 국가어린이예방접종에 도입되면서 우리 아이가 접종한 백신 종류가 13가인지 15가인지 폐구균 접종 백신 조회를 하고 싶어하시는 부모님이 많습니다. 내 아이가 어떤 백신을 맞았는지 정확히 확인하는 것은 향후 접종 계획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폐구균 13가, 15가 백신의 차이부터, 내 아이 폐구균 접종 종류 조회 방법까지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폐구균 백신이란? 13가, 15가 백신의 차이점 간단 정리

폐구균 백신은 아이들의 폐렴과 중이염, 뇌수막염 같은 심각한 감염병을 예방하는 백신입니다.폐구균 백신은 ‘가’ 숫자로 혈청형 종류를 구분하는데,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은 폐구균 13가(PVC13)와 폐구균 15가(PVC15) 백신입니다.

  • PVC13 (폐구균 13) : 13가지 혈청형을 예방하는 백신으로, 2024년까지 어린이 국가예방접종으로 널리 쓰였습니다.
  • PVC15 (폐구균 15) : 13가 백신에 비해 2가지 혈청형이 추가되어 더 넓은 범위의 균을 예방합니다. 2024년 4월부터 국가 무료접종에 도입되었고, 기존 PCV10 백신을 대체하고 있습니다.

둘 다 예방 효과가 뛰어나지만, 혈청형 구성 차이로 일부 지역에서 발생하는 균종 차이를 반영해 선택합니다.


내 아이가 맞은 폐구균 백신 종류,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내 아이가 접종한 폐구균 백신 종류를 정확히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다음 접종 시기나 2025년 10월 도입 예정인 폐구균 20가 백신으로 전환할 때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 병원에서 직접 확인하는 방법이 가장 확실하지만,
  • 바쁜 부모님들을 위해 인터넷을 통해 쉽게 조회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인터넷으로 폐구균 접종 백신 조회하는 방법

대한민국 질병관리청에서 운영하는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과 모바일 앱을 이용하면,내 아이가 접종한 폐구균 백신 종류와 접종 날짜를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PC(인터넷) 조회 방법

33
  • 포털에서 ‘예방접종도우미’를 검색하거나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에 접속합니다.
  • 상단 메뉴 ‘예방접종 관리’에서 ‘자녀 예방접종 관리’를 클릭합니다.
  • 아이 예방접종 조회 내역을 클릭하면 위와 화면과 같은 화면이 보이는데요.
  •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한 뒤 자녀 등록 절차를 거칩니다.
  • 자녀 정보 등록 후 접종 이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앱 조회 방법

  • 앱스토어 또는 구글플레이에서 ‘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 앱을 설치합니다.
  • 앱 실행 후 본인 인증 및 자녀 등록을 완료합니다.
  • 내 아이 폐구균 13가 또는 15가 접종 기록을 쉽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폐구균 백신 종류별 접종 기록 확인 시 유의할 점

  • 질병관리청 조회 시스템에서는 접종한 백신 이름이 구체적으로 나옵니다. 예를 들어 ‘프리베나13’은 PVC13, ‘박스뉴반스’는 PVC15 백신입니다.
  • 간혹 의료기관에 따라 표기 방식이 다를 수 있으니, 백신명을 잘 확인해야 합니다.
  • 만약 접종 기록이 누락됐거나 이상하다면, 접종한 병원에 문의해 기록 등록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폐구균 백신 접종 후 다음 접종 일정과 관리법

폐구균 백신은 2~4회 접종이 필요하기 때문에, 정확한 접종 기록 확인과 함께 다음 접종 일정을 잘 관리해야 합니다.특히 2025년 10월 1일부터는 폐구균 20가 백신이 국가 무료접종으로 도입되기 때문에, 현재 13가나 15가 백신을 맞고 있는 아이들도 추후 전환 접종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내 아이 폐구균 접종 종류 조회, 꼭 확인해야 하는 이유

폐구균 접종 백신 조회를 통해 내 아이가 어떤 백신을 맞았는지 정확히 아는 것은 건강 관리의 첫걸음입니다.앞으로 도입될 폐구균 20가 백신 접종 정보와 20가 접종 가능한 병원 조회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보세요.

이 블로그 글 더 보기

댓글 남기기

광고 차단 알림

광고 클릭 제한을 초과하여 광고가 차단되었습니다.

단시간에 반복적인 광고 클릭은 시스템에 의해 감지되며, IP가 수집되어 사이트 관리자가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