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위소득은 각종 복지 사업의 대상 여부를 결정짓는 핵심 기준으로, 중위소득 150% 이하부터 50% 이하까지 범위 내에서 대부분의 지원금 신청 복지사업 대상이 결정되는데요. 이 글에서는 2025 기준 중위소득을 알아보고, 가구별 기준표를 알아보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2025 기준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이란 ‘중앙에 위치한 소득’이라는 뜻 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대한민국 전체 가구의 소득을 소득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즉, 소득이 높지도 낮지도 않은 평균적인 중간 가구 소득을 말합니다.
보건복지부에서는 매년 중위소득을 발표합니다. 중위소득은 소득의 기준과 지표로 활용되는 만큼 대부분의 복지사업, 긴급지원사업, 주거지원 사업 등에 대상 결정 기준이 됩니다.
그러니 지원금 신청과 복지 정보를 알아보는 독자 여러분께 꼭 필요한 정보가 될 것입니다.
2025 기준 중위소득 알아보기
2025 가구별 중위소득 및 150%~50% 기준표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가구원 수 | 100% 기준 | 150% 기준 | 120% 기준 | 80% 기준 | 50% 기준 |
---|---|---|---|---|---|
1인 가구 | 2,241,473원 | 3,362,210원 | 2,689,767원 | 1,793,178원 | 1,120,737원 |
2인 가구 | 3,709,620원 | 5,564,430원 | 4,451,544원 | 2,967,696원 | 1,854,810원 |
3인 가구 | 4,796,896원 | 7,195,344원 | 5,756,275원 | 3,837,517원 | 2,398,448원 |
4인 가구 | 5,864,259원 | 8,796,388원 | 7,037,111원 | 4,691,407원 | 2,932,129원 |
5인 가구 | 6,879,097원 | 10,318,646원 | 8,254,916원 | 5,503,278원 | 3,439,548원 |
✅ 출처: 보건복지부 「2025년도 기준 중위소득 고시」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가 중요한 이유는?
중위소득 150% 이하는 다양한 복지사업 대상 기준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가구별 기준 금액을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공공의 기초생활보장제도 역시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사업들도 해당됩니다.
- 긴급복지지원제도 (생계·의료·주거지원)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산후도우미)
- 에너지바우처
- 청년 월세 지원제도 (중위소득 100%~150% 사이 대상 다수 포함)
- 소상공인 생활안정자금
2025 기준 중위소득 구간별 주요 복지사업
2025년 기준 중위소득 구간 별로 신청할 수 있는 주요 복지사업들 입니다.
중위소득 구간 | 주요 복지 사업 예시 |
---|---|
150% 이하 | 청년 월세 지원, 에너지 바우처, 육아지원금 일부, 긴급생계비 |
120% 이하 | 한부모가족 지원, 긴급복지 의료비, 저소득층 장학금 |
100% 이하 | 교육급여, 생계급여 일부, 정부지원 보육료 |
80% 이하 | **위기가정 맞춤형 지원, 범죄피해자 긴급지원 |
50% 이하 | 기초생활수급 대상자(생계·의료·주거급여) |
※ 실제 적용 기준은 사업별, 지자체 별로 상이하므로 신청시 관련 기관 담당자와 직접 소통이 필수입니다.
2025 기준 중위소득 이해하기 어렵다면? 내가 해당되는지 확인하는 법
복잡한 기준이 어렵다면, ‘소득인정액’ 또는 ‘건강보험료 납부 금액’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주민센터나 복지로 사이트에서 모의계산을 통해 내 가구의 중위소득 비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5 기준 중위소득 꼼꼼히 확인하고 복지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복지 지원의 핵심 키워드인 중위소득!
매년 업데이트 되는 부분으로, 내 가구의 중위소득 기준 금액을 정확히 파악하고, 해당하는 지원사업을 빠짐없이 신청하시면 생활안정과 회복에 큰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관련 복지사업 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