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기준 중위소득이 발표되었습니다. 인상폭과 기초생활수급 대상의 확대가 기대되어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고 있는데요. 기준 중위소득은 기초생활보장제도뿐만 아니라 다양한 복지 정책의 기준이 되므로, 꼭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2026년 기준 중위소득과 생계, 주거, 의료, 교육급여 선정기준 금액에 대해 1인~4인가구 소득기준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2026 기준 중위소득, 얼마나 인상되었나?
기준 중위소득은 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 6.51% 인상된 649만 4,738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1인 가구는 7.20% 인상되어 256만 4,238원이 됩니다.
다음 표를 통해 2025년과 2026년의 기준 중위소득을 가구원 수별로 비교해 보세요.
가구원 수 | 2025년 기준 중위소득 | 2026년 기준 중위소득 |
1인 | 2,392,013원 | 2,564,238원 |
2인 | 3,978,895원 | 4,257,596원 |
3인 | 5,138,582원 | 5,496,252원 |
4인 | 6,097,773원 | 6,494,738원 |
2026년 생계급여 선정 기준 금액은?
생계급여는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32% 이하인 가구에 지급됩니다. 2026년에는 기준 중위소득 인상으로 인해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는 소득 기준 금액이 다음과 같이 변경됩니다.
가구원 수 | 2026년 생계급여 소득 기준 (소득인정액) |
1인 | 820,556원 |
2인 | 1,362,431원 |
3인 | 1,758,801원 |
4인 | 2,078,316원 |
2026년 의료급여 선정 기준 금액은?
의료급여는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40% 이하인 가구에 지원됩니다.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을 적용한 의료급여 소득인정액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 수 | 2026년 의료급여 소득 기준 (소득인정액) |
1인 | 1,025,695원 |
2인 | 1,703,038원 |
3인 | 2,198,501원 |
4인 | 2,597,895원 |
2026년 주거급여 선정 기준 금액은?
주거급여는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48% 이하인 가구에 지원됩니다. 2026년 기준 주거급여를 받을 수 있는 소득 기준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 수 | 2026년 주거급여 소득 기준 (소득인정액) |
1인 | 1,230,834원 |
2인 | 2,043,646원 |
3인 | 2,638,200원 |
4인 | 3,117,474원 |
2026년 교육급여 선정 기준 금액은?
교육급여는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인 가구에 지원됩니다.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으로 교육급여 소득 기준도 다음과 같이 변경됩니다.
가구원 수 | 2026년 교육급여 소득 기준 (소득인정액) |
1인 | 1,282,119원 |
2인 | 2,128,798원 |
3인 | 2,748,126원 |
4인 | 3,247,369원 |
마무리하며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으로 인해 더 많은 분들이 기초생활보장제도와 다양한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혹시 자신이 수급 대상에 해당하는지 궁금하시다면, 거주지 행정복지센터나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정확한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 정보가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