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6년 최저시급 얼마로 확정되었을까요? 7월 10일, 10,320원으로 최종 확정되었습니다. 2025년 시급 10,030원에 비해 290원 인상(2.9%)된 수치입니다. 그렇다면, 이 시급으로 주 4시간에서 8시간 정도 아르바이트를 한다면 한 달에 얼마나 벌 수 있을까요?
주휴수당을 포함한 실 수령액이 궁금한 분들을 위해 상세한 계산표도 함께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2026년 최저시급 얼마? 인상률과 비교
2026년 최저시급은 10,320원입니다. 최근 5년간의 최저시급 인상률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연도 | 최저시급 | 인상률(전년 대비) |
---|---|---|
2022 | 9,160원 | +5.1% |
2023 | 9,620원 | +5.0% |
2024 | 9,860원 | +2.5% |
2025 | 10,030원 | +1.7% |
2026 | 10,320원 | +2.9% |
지난 몇 년 동안 인상률은 점차 완만해지는 추세를 보였으며, 2026년은 비교적 높은 편에 속합니다. 물가 상승과 저성장 기조 속에서 근로자들의 실질소득을 일부 보전하려는 방향으로 해석됩니다. 이번 결정은 2008년 이후 17년 만에 노사 합의로 이뤄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주 4~8시간 근무 시 한 달 월급 얼마? (주휴수당 포함)
주휴수당은 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 시, 하루치 시급을 추가로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15시간 미만 근무자에게는 주휴수당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이 기준에 따라 표를 나누어 정리했습니다.
주휴수당 미적용 (주 4~14시간 근무)
주간 근무시간 | 시급 | 월 급여(4주 기준) |
---|---|---|
4시간 | 10,320원 | 165,120원 |
6시간 | 10,320원 | 247,680원 |
8시간 | 10,320원 | 330,240원 |
12시간 | 10,320원 | 495,360원 |
14시간 | 10,320원 | 577,920원 |
주휴수당 적용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주간 근무시간 | 실제 근무 + 유급 주휴시간 | 월 급여(4주 기준) |
---|---|---|
15시간 | 15 + 3시간 = 18시간 | 742,860원 |
20시간 | 20 + 4시간 = 24시간 | 990,720원 |
25시간 | 25 + 5시간 = 30시간 | 1,238,400원 |
30시간 | 30 + 6시간 = 36시간 | 1,485,600원 |
※ 계산 방식:시급 × (주 근무시간 + 주휴시간) × 4주
최저임금 인상, 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까?
최저임금 인상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단순하지 않습니다. 이론적으로는 가계소득 증가 → 소비 촉진 → 내수 경제 활성화라는 선순환 구조가 기대됩니다. 실제로 과거 2018~2019년 최저임금이 급격히 인상되었을 당시, 자영업자들 사이에서는 인건비 부담이 커졌다는 우려가 많았지만, 일부 통계에서는 소비 증가의 신호도 감지된 바 있습니다.
다만, 소상공인과 영세 자영업자의 경우 최저임금 인상분을 감당하기 어려워 고용 축소나 근무시간 단축으로 대응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에 따라 일자리 수가 줄거나, 근로자들의 실질 근무시간이 오히려 감소하는 역효과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번 2026년 인상률은 지나치게 높지도, 낮지도 않은 절충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특히 청년 아르바이트생이나 파트타임 근로자 입장에서는 적지 않은 혜택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자영업자들은 여전히 민감한 상황에 놓여 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습니다.
2026 최저시급 글을 마무리하며
2026년 최저시급은 10,320원으로 결정되었고, 주휴수당 포함 여부에 따라 실제 수령액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주 15시간 이상 일한다면 유급 주휴시간이 추가되므로 수입이 더 많아진다는 점을 기억해 두면 좋습니다.
최저시급 인상이 근로자에게는 희소식일 수 있지만, 시장 전체의 반응은 다양한 만큼 일자리 구조와 정책적 보완도 함께 고민되어야 할 시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