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SNS와 메신저,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앱 설치하고 영상만 시청하면 하루 ○만원”이라는 제안이 퍼지고 있습니다. 특히 Zunvex(준벡스)라는 앱이 부각되면서 관심이 높지만, 다수 피해 사례를 보면 이는 전형적인 부업 사기 수법입니다. 부업 사기 조직은 접근 초기부터 피해자를 통제하고 신뢰를 쌓은 뒤, 고액 입금과 출금 지연을 통해 피해금을 편취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업 사기 패턴, 특정 앱/사이트 가입 + 추천 코드 요구 이유, 예방법, 피해 신고 방법까지 자세히 안내합니다.
Table of Contents
1. Zunvex 사례로 보는 부업 사기 패턴
부업 사기는 피해자의 심리를 단계적으로 이용하며, 신뢰와 압박을 결합한 구조로 진행됩니다.
특히 zunvex 사기피해를 입을 뻔한 분의 후기가 있는 네이버 블로그가 화제입니다. 읽어보시면 피해 예방과 수법 파악에 도움이 되실 듯 합니다.
이 블로그 내용에서 볼 수 있듯 부업 사기에는 아래와 같은 특징들이 있는데요.
(1) SNS·메신저 접근
사기범은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텔레그램, 카카오톡 등을 통해 “앱 설치 + 영상 시청 = 하루 5만 원”이라는 광고로 접근합니다.가입 링크와 추천 코드 입력을 반드시 요구하는데, 이는 단순한 추적 수단이 아니라 피해자 통제와 금전 흐름 관리의 핵심 장치입니다.
추천 코드 입력의 목적
- 피해자 관리 및 통제
- 추천 코드를 통해 사기범은 누가 앱을 설치하고 활동하는지 추적할 수 있습니다.
- 조직 내 피해자 그룹을 나누어 미션 참여 상황을 관리하고, 심리적 압박을 조절합니다.
- 수익 흐름 분배 및 다단계 구조
- 추천 코드를 입력하면 시스템상에서 “추천인 → 피추천인” 관계가 형성되어, 피해자가 다른 사람을 유도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사기범 입장에서는 피해자를 2차 피해자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는 셈입니다.
- 심리적 신뢰 구축
- 추천 코드 입력 후 소액 수익을 주면, 피해자는 “나도 특별히 선택된 사람”이라는 착각에 빠져 추가 입금 요청에도 넘어가게 됩니다.
(2) 초기 소액 지급으로 신뢰 확보
처음에는 간단한 미션(영상 시청, 설문 응답 등) 성공 시 실제로 소액을 지급합니다.예: 5,000원~2만 원.이 과정은 피해자가 사기임을 의심하지 않게 하는 심리적 장치입니다.
(3) 고액 미션과 선입금 유도
신뢰가 쌓이면 “VIP 미션”, “고수익 미션”을 제안하며 수십~수백만 원 입금을 요구합니다.피해자는 초기 수익 경험 때문에 경계심이 낮아집니다.
(4) 출금 방해와 추가 입금 강요
고액 미션 후에는 시스템 오류, 수수료, 세금 등을 이유로 출금을 막고,“조금만 더 입금하면 전액 출금 가능”이라는 말로 추가 송금을 유도합니다.
(5) 가스라이팅과 단체방 심리 압박
사기범은 피해자를 단체방에 초대하고, 가짜 ‘성공자’들이 수익을 인증하도록 합니다.피해자는 자신만 뒤처진 것처럼 느끼며, 심리적 압박으로 추가 입금을 수용하게 됩니다.
2. 부업 사기 예방 방법
부업 사기 예방은 의심과 확인입니다. 사기 범죄는 대부분 아래 특징을 갖습니다.
- 쉽게 벌 수 있는 고수익 강조하루 몇 분, 영상 시청만으로 수십~수백만 원을 번다는 제안은 대부분 거짓입니다.
- 추천 코드 및 전용 앱 설치 요구폐쇄형 앱·사이트는 사기범이 모든 데이터를 통제할 수 있어 위험합니다.추천 코드 입력 시 다단계 구조나 심리적 압박이 연결될 수 있어, 참여하지 않는 것이 안전합니다.
- 사업자 정보와 서버 위치 확인사업자등록번호, 주소, 연락처가 불명확하거나 해외 서버 기반이면 가입하지 마세요.국내 법 적용과 추적이 어렵기 때문에 사기 가능성이 높습니다.
추가 안전 수칙:
- 검증된 채널만 이용사람인, 잡코리아, 알바몬, 워크넷 등 공인 플랫폼 사용.
- 검색과 정보 공유 습관앱 이름 + “사기” 키워드 검색, 의심스러운 제안은 주변에 공유.
- 소액 체험 후 경계 유지초기 지급 소액에 속지 말고, 고액 미션 참여 요청 시 반드시 확인.
3. 부업 사기 피해 확산 방지 및 신고 절차
피해를 입었다면 신속 대응이 중요합니다. 입금 직후 24시간 안에 행동하면 피해금 회수 가능성이 커집니다.
(1) 추가 송금 금지, 증거 확보
이번이 마지막이라는 말은 100% 사기입니다. 추가적인 송금을 금지하고, 대화방 캡쳐, 송금내역 등 증거를 확보하도록 합니다. 이 때에는 시간과 날짜, 금액등 자세한 정보가 모두 나오도록 저장하는 것이 좋습니다.
(2) 계좌 지급정지 신청
어플이나 사이트에 가입하며 기록한 나의 개인정보가 약용될 수 있기 때문에 내 계좌에서 더 이상 출금이 되지 않도록 조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은행 고객센터를 통해 사기 피해금 지급정지 요청을 할 수 있고, 금융감독원 피해계좌조회 시스템을 통해 피해계좌로 잘 등록이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개인정보 보호 조치
금융감독원의 개인정보노출자 사고예방시스템에 등록을 해두고, 사기범에게 노출된 은행과 계좌의 비밀번호는 모두 바꿔두는 것이 좋습니다.
(4) 경찰 신고
경찰청 상버 범죄신고시스템 (https://ecrm.police.go.kr) 또는 국번없이 182로 연락하여 신속한 신고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마무리
Zunvex와 같은 부업 사기는 추천 코드, 폐쇄형 앱, 초기 소액 지급, 고액 입금 요구, 단체방 가스라이팅 등 복합적 수법으로 피해자를 몰아갑니다.특히 추천 코드 입력 단계가 핵심으로, 이는 조직이 피해자를 추적·통제하고, 2차 피해를 유도하는 구조적 장치입니다.안전한 부업을 찾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쉽게 돈 벌 수 있다”는 제안은 경계하고, 검증된 채널과 주변 조언을 통해 확인하는 것입니다.